반응형
오늘은 Windows 환경에서 Windows 서버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리눅스 서버를 접속할 때는 보통 SSH 22번 포트를 통해 Xshell이나 PuTTY를 이용해서 접속하는데요.
Windows 접속은 리눅스 서버보다 훨씬 더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우선 Windows 서버는 22번 포트가 아닌 RDP로 접속하기 때문에 서버 방화벽에서
디폴트 포트 기준으로 TCP 3389번을 열어주셔야합니다.
3389번이 열려있다는 가정하에 Windows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PC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실행하여야합니다.
왼쪽 하단 검색을 이용하여 '원격'까지만 검색해도
이렇게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 나옵니다.
혹은 'Windows키'+ 'R' 을 눌러 나오는 실행창에 'mstsc'를 입력해주면
원격 데스크톱 연결 창이 나옵니다.
컴퓨터 부분에 연결하려는 서버의 IP주소를 입력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간혹 이런 창이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그냥 예 누르면 연결됩니다.
연결이 성공하면 이런 식으로 창이 뜨고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셔서 접속하시면 바로 사용가능합니다.

반응형
'OS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RDP 포트 변경 (0) | 2023.02.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