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P] Windows 디스크 볼륨 확장 1. 원하는 서버 선택 후 스토리지 설정 => 스토리지 변경 2. 원하는 크기로 스토리지 변경 3. 윈도우 서버 접속 후 윈도우 버튼에서 오른쪽 클릭 => 디스크 관리 선택 4. 아래쪽 "할당되지 않음"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 => 볼륨 확장 선택 5. 볼륨 확장 마법사에서 원하는 설정에 맞춰서 완료 6. 내 PC에서 볼륨 확장 확인 Cloud/Naver Cloud Platform 2023.06.17
[NCP] Windows 디스크 할당 해당 서버 스토리지 생성 1. NCP 콘솔 => Server 로 이동 후 원하는 서버를 선택 2.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을 클릭하여 스토리지 생성 클릭 3. 스토리지 종류, 스토리지 이름, 크기 입력 4. 스토리지 추가 확인 Windows 서버 스토리지 할당 1. 왼쪽 아래 윈도우 아이콘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 2. 디스크 관리 선택 3. 아래쪽 "할당되지 않음" 디스크에 오른쪽 버튼 클릭 후 새 단순 볼륨 선택 4. 새 단순 볼륨 만들기 원하는 설정에 맞춰서 완료 5. 볼륨 할당된 것 확인 Cloud/Naver Cloud Platform 2023.06.17
[Linux] 리눅스 -> 윈도우 파일 옮기기 리눅스에서 윈도우로 파일 옮기기 scp -r 계정@ip:파일위치 옮길위치 ex)scp -r ncloud@10.10.2.12:/home1/ncloud/dbsafe/12 c:\ OS/Linux 2023.06.09
[Windows] Windows => Windows 서버 접속 오늘은 Windows 환경에서 Windows 서버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리눅스 서버를 접속할 때는 보통 SSH 22번 포트를 통해 Xshell이나 PuTTY를 이용해서 접속하는데요. Windows 접속은 리눅스 서버보다 훨씬 더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우선 Windows 서버는 22번 포트가 아닌 RDP로 접속하기 때문에 서버 방화벽에서 디폴트 포트 기준으로 TCP 3389번을 열어주셔야합니다. 3389번이 열려있다는 가정하에 Windows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PC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실행하여야합니다. 왼쪽 하단 검색을 이용하여 '원격'까지만 검색해도 이렇게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 나옵니다. 혹은 'Windows키'+ 'R' 을 눌러 나오는 실행창에 'mstsc'를.. OS/Windows 2023.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