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Linux

[Linux] NAS란?

dalgong 2023. 11. 27. 15:57
반응형

오늘은 NAS 스토리지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

다음 포스터에서 NAS 생성 후 Windows와 Linux 서버에 각각 마운트하는 방법을 공유드리고자합니다.

 

NAS Storage


NAS 스토리지는 Network Attached Storage로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데이터에 접근하는 용도의 저장장치 시스템입니다.

 

1. 다수의 서버와 연결 가능

NAS 스토리지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을 하기 때문에 다수의 서버에 동시에 마운트가 가능합니다.

다수의 서버에 동시에 마운트하며 서버내에서 SSD나 HDD와 같은 블록스토리지와 같이 서버 내에서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 디렉토리와 파일들 확인이 가능하며 손쉽게 파일을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시에 마운트되어있는 서버들에서 삭제되거나 새로 저장된 파일들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동시에 파일이나 디렉토리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2. NAS의 프로토콜  

NAS의 프로토콜은 운영체제에 따라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다르다.

물론 프로토콜이 다르다고 연결이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권유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보다

마운트 방법이 복잡하고 연결하더라고 권한 에러등이 자주 발생하여

운영체제에 맞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

Linux 에는 NFS, Windows에는 CIFS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된다.

 

 

NCP의 NAS


 

NCP에서도 NAS 서비스를 제공한다.

NCP NAS 서비스를 사용한 후의 특징을 공유하고자 한다.

 

1. CIFS, NFS 프로토콜 지원

NCP의 NAS는 CIFS, NFS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해준다. 

그래서 마운트를 원하는 서버의 운영체제에 따라 원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생성한 후

접근 제어에서 원하는 마운트를 원하는 서버를 선택하여 방화벽을 열어준 후

쉽게 마운트 설정이 가능하다.

 

2. 유연한 확장 / 축소

NCP의 NAS는 콘솔내에서 간편하게 볼륨 용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NAS 볼륨의 기본 용량은 500GB ~ 1000GB이며 

기본 저장 용량이 부족할 경우 최대 10TB까지 용량 확장이 가능합니다.

 

3. Monitoring 설정  가능

NCP의 NAS는 각각의 NAS 스토리지 별로 Monitoring 감시 설정 기능을 통해

미리 임계치를 설정한 후 NAS 사용량이 임계치에 도달하면 SMS와 메일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NAS 와 NCP에서의 NAS를 알아보았습니다.

NAS 생성 및 마운트 방법은 아래 포스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NCP] NAS 생성

오늘은 NCP에서 NAS를 생성하고 마운트하는 법을 공유하겠습니다. NAS가 무엇인지는 이전 포스트에 설명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Linux] NAS란? 오늘은 NAS 스토리지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 다음

itdalgong.tistory.com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E212: Can't open file for writing 해결법  (0) 2023.12.11
[Linux] LVM 생성  (1) 2023.12.04
[Linux] Open SSH 업데이트  (0) 2023.07.23
[Linux] root 권한 부여  (0) 2023.06.18
[Linux] SSH 접속 포트 변경  (0) 202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