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AS 3

[NCP] NAS 생성

오늘은 NCP에서 NAS를 생성하고 마운트하는 법을 공유하겠습니다. NAS가 무엇인지는 이전 포스트에 설명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Linux] NAS란? 오늘은 NAS 스토리지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 다음 포스터에서 NAS 생성 후 Windows와 Linux 서버에 각각 마운트하는 방법을 공유드리고자합니다. NAS Storage NAS 스토리지는 Network Attached Storage로 네트워크 itdalgong.tistory.com NAS 생성 우선 Service에서 NAS를 선택한 후 NAS 볼륨 생성을 해줍니다. NAS 볼륨 생성 버튼을 클릭하신 후 순서대로 NAS를 생성할 Zone 선택, 이름 설정, 용량 설정, 프로토콜 설정 등을 선택해주시면 되는데 이번 NAS는 Windows 서버에 ..

[Linux] NAS란?

오늘은 NAS 스토리지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 다음 포스터에서 NAS 생성 후 Windows와 Linux 서버에 각각 마운트하는 방법을 공유드리고자합니다. NAS Storage NAS 스토리지는 Network Attached Storage로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데이터에 접근하는 용도의 저장장치 시스템입니다. 1. 다수의 서버와 연결 가능 NAS 스토리지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을 하기 때문에 다수의 서버에 동시에 마운트가 가능합니다. 다수의 서버에 동시에 마운트하며 서버내에서 SSD나 HDD와 같은 블록스토리지와 같이 서버 내에서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 디렉토리와 파일들 확인이 가능하며 손쉽게 파일을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시에 마운트되어있는 서버들에서 삭제되거나 새로 저장된 파일들을 실시간..

OS/Linux 2023.11.27

[NHN] NAS 생성 방법 및 유의사항

NHN NAS 생성 1. NAS 활성화 우선 NHN 에서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활성화를 해주어야합니다. 만약 NAS를 처음 사용한다면 서비스선택에서 NAS 오른쪽에 아래쪽과 같은 ON 버튼을 눌러 활성화를 시켜주어야합니다. 2. NAS 생성 왼쪽 위에 NAS 스토리지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NAS 생성을 시작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NAS 설정화면이 나오고 적절한 설정값을 입력해주면 NAS 생성은 완료가됩니다. - NHN NAS의 접근제어는 NCP에서는 특정 서버를 선택하는 것과는 다르게 직접 해당 IP를 입력해주어야합니다. - 스냅숏 생성 주기는 서버를 잘 사용하지 않는 시간으로 지정하였습니다. - 스냅숏 저장 용량은 NCP와 다르게 직접 설정할 수 있었는데 저는 NCP 기준으로 생성..

Cloud/NHN Cloud 2023.07.24
반응형